ReactNextCentral
Published on

가비아 도메인 연결부터 검색 엔진 노출까지, Vercel로 쉽게 시작하기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Vercel로 배포한 Next.js 사이트와 연결하고, 구글·네이버 검색 노출까지 준비하는 A to Z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가비아 도메인 연결부터 검색 엔진 노출까지, Vercel로 쉽게 시작하기
Authors
Table of Contents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Next.js로 만든 웹사이트를 Vercel에 배포한 뒤, 구글 서치 콘솔과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서치 어드바이저)에 등록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필요한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준비물 & 환경

  • 가비아 계정: 도메인 구매 및 DNS 설정
  • Vercel 계정: Next.js 프로젝트를 배포할 플랫폼
  • Next.js 프로젝트: 이미 로컬(또는 Github 등)에 준비된 상태여야 함
  • 구글 계정, 네이버 계정: 검색 콘솔·웹마스터 등록을 위함

1단계: 도메인 구매(가비아)

가장 먼저, 웹사이트에 사용할 도메인 주소가 필요합니다.

  1. 가비아 사이트 접속 가비아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도메인 검색 메인 화면의 도메인 검색창에 원하는 도메인(예: mywebsite.com)을 입력합니다.

  3. 도메인 구매 절차

    • 사용 가능 여부 확인
    • 장바구니에 담아 결제(1년, 2년 등 원하는 기간 선택)
  4. 구매 확인

    • 결제가 완료되면 “My가비아 > 도메인관리” 메뉴로 이동
    •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

Tip: 도메인만 구매했다고 웹사이트가 바로 열리는 건 아닙니다. 아래 단계에서 DNS 설정을 통해 Vercel 서버와 연결해야 실제 웹사이트 접속이 가능합니다.

2단계: 가비아 DNS 레코드 설정

도메인을 구매했다면, 다음으로 가비아 DNS 정보를 수정해 Vercel 서버와 연결해야 합니다.

  1. 가비아 DNS 관리 페이지 이동

    • “My가비아 > 도메인관리”에서 방금 구매한 도메인을 찾습니다.
    • “DNS관리” 또는 “DNS정보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2. 레코드 추가/수정 Vercel에서 요구하는 A 레코드CNAME 레코드를 등록합니다.

    • A 레코드:

      • 호스트: @
      • 값(IP): 76.76.21.21 (Vercel 기본 IP)
    • CNAME 레코드(선택이지만 일반적으로 함께 설정):

      • 호스트: www
      • 값: cname.vercel-dns.com. (또는 Vercel이 제공하는 별칭)
  3. 저장 입력을 마쳤다면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중요:

  • 기존에 동일한 호스트(@, www)가 등록되어 있다면 새 레코드로 수정하거나 삭제 후 다시 등록하세요.
  • DNS 변경은 전 세계 서버에 전파되는 데 수 분 ~ 수 시간 걸릴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가비아 DNS 설정에서 TTL(Time To Live)을 너무 길게 잡으면, 변경 사항을 테스트할 때 반영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기본값(예: 600초 또는 1800초) 이상으로 높이 설정하시면, 도메인 연결 에러 해결 시 오래 기다려야 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3단계: Vercel 프로젝트에 도메인 연결

DNS 쪽에서 Vercel 정보로 연결 준비가 됐다면, 이번에는 Vercel 측에서 이 도메인을 받아들이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1. Vercel에 Next.js 프로젝트 배포

    • 이미 프로젝트를 배포했다면, Vercel 대시보드에 해당 프로젝트가 보여야 합니다.
    • 만약 아직 배포하지 않았다면 Vercel에 가입 후 ‘New Project’를 통해 GitHub(또는 GitLab) 레포지토리를 연결해 배포하세요.
  2. Domains 메뉴로 이동

    • Vercel 대시보드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클릭
    • 좌측 메뉴 혹은 상단 탭에서 Settings > Domains 진입
  3. Add Domain

    • 연결할 도메인 (예: mywebsite.com)을 입력
    • Add 버튼 클릭
    • 아직 DNS가 완전히 전파되지 않았다면 ‘Invalid Configuration’ 메시지가 뜨지만 괜찮습니다.
  4. 도메인 상태 확인

    • 가비아 DNS 설정이 올바르고 전파가 완료되면, Vercel이 “Verified” 또는 “Connected” 상태로 바뀝니다.
    • 이 작업은 보통 수 분 정도 걸립니다.
  5. HTTPS 적용

    • 연결이 완료되면 Vercel이 Let’s Encrypt 같은 SSL 인증서를 자동 발급해 HTTPS를 활성화합니다.
    • 별도 수수료 없이 진행되므로, 브라우저에서 https://mywebsite.com으로 접속해 보세요. 잠시 기다린 후 보안 자물쇠 아이콘이 나타나면 성공입니다.

4단계: 구글 검색 엔진에 등록 (구글 서치 콘솔)

이제 도메인으로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면, **SEO(검색 노출)**를 위해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해 봅시다.

  1. 구글 서치 콘솔 접속

  2. 속성(Property) 추가

    • “도메인 등록” vs “URL 접두어” 방식 중 선택
    • 도메인 등록: mywebsite.com 형식(https, www 제외)으로 등록, DNS TXT 레코드 인증 필요
    • URL 접두어 등록: https://mywebsite.com으로 등록, HTML 메타태그 등 다양한 인증 방법 가능
  3. 소유권 확인

    • DNS TXT 레코드 방식:

      • 구글이 제공하는 google-site-verification=xxxx 문자열을 가비아 DNS에 TXT 레코드로 추가
      • 설정 후 “검증” 버튼을 눌러 완료
    • HTML 메타태그 방식:

      • 구글이 제공한 <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코드를 Next.js 프로젝트의 <head>(예: _document.js or pages/_app.js)에 삽입 후 배포
      • 다시 구글 서치 콘솔에서 “검증” 클릭
  4. 사이트맵 제출 (선택)

    • Next.js에서 자동 생성된 sitemap.xml이 있다면, Search Console의 “사이트맵” 메뉴에 /sitemap.xml 경로를 등록
    • 이렇게 하면 구글이 더 효율적으로 사이트의 페이지들을 색인합니다.

Note: 색인이 완료되어도 검색 결과에 노출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조금 기다려 보시고, 꾸준히 사이트를 업데이트하며 검색 콘솔의 “커버리지” 탭 등을 확인하세요.

5단계: 네이버 검색 엔진에 등록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한국 사용자가 많다면, 네이버 검색도 중요합니다.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서치 어드바이저(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해 봅시다.

  1.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접속

  2. 사이트 등록

    • 사이트 주소 입력 (일반적으로 https://mywebsite.com)
    • “등록하기” 버튼 클릭
  3. 소유 확인

    • HTML 메타태그 사용이 간단합니다.
    • 네이버가 제시하는 <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 코드를 복사해, Next.js 프로젝트의 <head>에 삽입 후 배포
    • 배포가 완료되면 서치 어드바이저에 돌아와 “확인” 버튼 클릭 → 소유 인증 성공
  4. 사이트맵 및 페이지 제출

    • 구글과 마찬가지로 사이트맵 제출 가능
    • “페이지 검색 수집” 기능으로 주요 페이지들을 빠르게 색인 요청 가능

참고: 네이버도 검색에 반영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제공하는 오류나 품질 지표를 확인해 보세요.

주의

네이버는 구글과 다르게 네이버만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어 검색 결과 반영이 더디거나, 아예 노출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메타태그 소유 인증을 마쳤더라도, '콘텐츠 품질'이 중요합니다. 특히 자동 생성된 콘텐츠나 단순 스크랩 내용만 있는 페이지는 수집 우선순위가 낮아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6단계: 문제 해결 FAQ

  • Q1. DNS 설정 후 도메인이 연결 안 돼요. A: DNS 전파가 즉시 이뤄지지 않을 수 있으니 최대 24시간 기다려 보세요. 가비아 DNS 설정에서 오타가 있는지, 기존 레코드와 충돌하는지 점검도 필요합니다.

  • Q2. HTTPS가 안 뜨고 ‘안전하지 않음’ 메시지가 보여요. A: Vercel이 SSL 인증서 발급을 완료하기까지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습니다. 보통 수 분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접속해 보세요.

  • Q3. 구글 서치 콘솔이나 네이버에서 바로 검색이 안 돼요. A: 검색엔진 색인은 보통 며칠, 길게는 몇 주 걸릴 수 있습니다. 서치 콘솔과 웹마스터도구에서 “색인 요청”을 했더라도 즉시 노출되지는 않습니다.

  • Q4. 도메인 연결 후 www 붙여서 접속하면 안 돼요. A: www 서브도메인용 CNAME 레코드도 등록했는지 확인하세요. 혹은 Vercel 도메인 설정에서 www 리디렉션을 추가했는지 점검합니다.

마무리 & 체크리스트

  1.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 → 정상 등록 확인
  2. 가비아 DNS 설정 → A 레코드(@ → 76.76.21.21), CNAME(www → cname.vercel-dns.com.)
  3. Vercel 프로젝트 “Domains”에 도메인 추가 → “Verified” 상태인지 확인
  4. HTTPS(SSL) 확인https://도메인 접속 시 자물쇠 표시
  5. 구글 서치 콘솔 등록 → DNS TXT 또는 메타태그 인증 → 사이트맵 제출
  6. 네이버 웹마스터 등록 → 메타태그 인증 → 사이트맵/페이지 제출

여기까지 마치면, 내 사이트는 직접 소유한 도메인으로 접속할 수 있고, 구글·네이버 검색에도 잘 노출되기 위한 준비가 끝난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검색 상위 노출이 이뤄질 수 있으니, 꾸준히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검색 콘솔을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면서 SEO 전략을 세워 나가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추가 팁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이 가이드는 상황이나 플랫폼 업데이트에 따라 세부 메뉴명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제 이용 시 최신 공식 문서를 함께 참조하시길 권장합니다.